지지난주 구글에서 메일 한 통이 날라 왔습니다. 꽤 중요한 내용의 메일이었는데요. 여태껏 구글 애드센스 수익에 대한 국내 세금 신고는 매년 5월에 하는 종합소득세에 기타소득으로 추가하여 신고를 하면 되었지만, 이제 앞으로 미국에서 애드센스 수익을 US 달러로 지급을 하기 전, 미국 외 크리에이터드에게는 미국 내의 시청자나 미국에서 발생하는 수익에 대해서는 별도의 세금을 원천징수하고 지급을 하기로 한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일단 자신의 구글 애드센스 계정에서 미국 세금 원천징수를 위한 기본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데요. 만약 올해 5월까지 세금 정보를 입력하지 않으면 구글 애드센스 수익의 총 24%를 떼어서 원천징수 한다고 하니 반드시 미리 세금 정보를 등록해 두는 것이 좋겠지요.
하지만 애드센스 미국 세금 정보를 등록하는게 낯선 양식이다 보니 결코 쉽지 않고 많은 분들이 헷갈려서 망설이고 계시는 것 같더라고요. 특히 외국인 TIN 번호 입력과정에서 많이들 막히고 계시는데, 저 또한 그랬습니다. 그래서 외국인 TIN 번호를 모를 때는 어떻게 등록하면 되는지 지금부터 한번 살펴볼까 해요.
우선 구글 애드센스 계정 화면으로 들어가서 왼쪽의 '지급' 메뉴를 선택한 뒤, 오른쪽 제일 아래에 있는 설정 부분의 '설정관리' 항목을 선택해 줍니다.
그러면 결제 프로필 항목이 뜨게 되고, 아래쪽으로 내려 보시면 미국 세금 정보 항목에 다시 파란색으로 '세금 정보 관리' 라는 문구가 보이게 되는데, 이것을 클릭해서 본격적으로 미국 세금 정보를 등록하게 됩니다. 클릭하시고요.
그럼 다시 한번 미국 세금 정보에 대한 확인 내용이 한번 더 나오게 되고, 오른쪽 아래에 있는 '세금정보 추가' 항목을 한번 선택해 주면 됩니다.
먼저 계정 유형을 선택해 주면 되는데, 대부분은 저처럼 개인으로 운영을 하고 있을테니, 개인을 선택해 주면 되고, 국내에 거주하고 계신 분들은 미국시민 또는 거주자가 아니니 아니오를 선택, 그리고 W-8 세금 양식 유형은 위에 있는 W-8BEN 항목을 선택한 뒤, W-8BEN 양식으로 이동을 해주면 됩니다.
W-8BEN 세금 양식에서는 이름과 국가를 먼저 확인한 뒤, 거주지 주소를 입력하면 되고요. 아래 동 이하 상세 주소는 영문으로 입력하셔야 합니다. 그런 다음 우편 주소와 영구 거주지 주소와 동일하다는 내용에 체크를 한 뒤 다음 버튼을 클릭!!
다음엔 조세조약에 관한 내용을 입력해야 하는데, 조세 조약에 따라 인하된 원천징수율을 신청하나요? 항목에서부터 중요합니다. 만약 자신이 사업자등록이 되어 있거나 외국인 TIN 번호를 알고 있다면, '예'를 선택해서 진행하면 되는데, 저처럼 일반 개인이고 사업자등록이 되어 있지 않는 분이라면 '아니오'를 선택해 주세요.
'예'와 '아니오'의 차이는 원천징수 부담율이 달라지게 되는데요. 만약 사업자등록번호 혹은 유효한 TIN번호가 있으면 미국 원천 소득에서 0~10% 정도의 원천징수세가 부담이 되고, 아니오를 선택하면 30%를 부담하게 되지요. 간혹 사업자등록번호가 없는데 '예'를 선택해서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는 분들이 계신데, 주민등록번호는 유효하지 않다고 하니 주민번호는 입력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아니오를 선태한 다음 생성된 세무 서류를 미리보기 화면을 통해 확인한 뒤, 다음 버튼을 클릭하면 되고요.
내 서명 부분에 한번 더 영문이름을 기입하고 서명란에 기재된 당사자임을 확인하기 위해 예 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
그리고 미국에서 수행한 활동 및 서비스 증명서 부분에서는 이전에 애드센스 수익이 발생했던 분이라면 '예'를 선택하면 되고, 아래 상태 변경 보증서 부분에서는 이전에 애드센스 지급 이력이 있다면, 아래 항목을 선택해 주면 됩니다.
그럼 이렇게 최종적으로 미국 세금 정보 W-8BEN 양식이 승인되었다고 확인이 되고, 아래 W-8BEN 양식 기본값이 영화 및 TV 기본 원천징수세율(유튜브), 기타 저작권 기본 원천징수세율, 서비스 기본원천징수세율(티스토리 블로그)에 대해 모두 30%를 뗀다는 내용이 되겠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모든 수익에서 30% 떼는 것이 아니냐고 잘못 오해하고 계신 분들이 있는데, 내 유튜브 혹은 티스토리 블로그 수익에서 미국 시청자들이나 구독자들에 의해 발생된 수익에서 30%를 떼는 것이니 미국 시청자나 구독자 비율이 그리 높지 않다면 크게 걱정을 안하셔도 됩니다. 예를 들어 내가 유튜브에서 월 100만원 정도의 수익이 나고 있는데 ,여기서 30%를 떼서 70만원 수익만 받는 것이 아니고, 100만원 수익 중에서 미국 시청자들에 의 해 발생한 수익이 10만원이고 나머지 90만원은 국내 혹은 다른 나라 시청자들에 의한 수익이라면, 10만원 중에서 30%를 떼어 3만원을 세금으로 징수한다는 내용이예요. 그래서 100만원 중 3만원이 미국 세금에 해당되어 97만원을 수익으로 받을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유튜브 하시는 분들은 내 유튜브가 미국에서 발생하는 수입이 어느 정도인지 확인하고 싶다면 유튜브 스튜디오 화면으로 들어가 분석 화면에서 수익 부분으로 들어가 '지역'을 선택해서 지역별 추정수익을 설정하고 조회를 하면 이렇게 각 나라별 수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엔 지난 1년간 미국 수익이 전체 수익에서 2.7% 정도 밖에 차지하지 않아 그리 큰 의미는 없을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