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몇 년 사이 해외직구로 온라인 쇼핑을 하는 분들이 많아짐에 따라 간혹 배송지 주소를 입력할 때 영문으로 작성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지난 2014년부터 도로명 주소 표기법을 사용하고 있어 도로명 주소와 함께 영문표기 하는 방법이 살짝 헷가리는 경우도 있는데요.
나는 맞게 입력을 한 것 같은데, 철자가 맞는건지.. 빠진 건 없는지 가끔 궁금할 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소중한 직구 제품을 제대로 받기 위해 우리집 주소를 도로명 표기와 함께 영문으로 변환해서 입력하는 방법을 한번 알아볼까 합니다.
물론 네이버나 다음 같은 포털에서 도로명 주소를 입력하면 바로 영문으로 표기되어 나오는 경우가 있긴 합니다만, 보다 정확하고 우리나라에서 공식적으로 안내하고 있는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을 통해 확인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 홈페이지로 들어가면 바로 메인화면에서 도로명 주소 검색창이 보이게 되는데요. 여기서 영문으로 변환하고자 하는 도로명 주소를 직접 입력하여 검색을 하면 됩니다.
저는 대표적으로 '서울시청' 주소를 한번 검색해 보기로 했는데요. 서울시청의 도로명 주소는 '세종대로 110' 입니다. 그래서 검색창에 '세종대로 110'이라고 입력한 뒤 검색을 하니 이렇게 첫번째에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10(태평로1가)'라는 주소가 나오게 되더군요. 근데 아직 영문 주소는 안보이는데, 오른쪽 가장자리에 있는 상세보기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그럼 화면이 아래로 펼쳐지면서 영문 주소가 바로 나오게 됩니다. 서울시청의 영문주소는 '110, Sejong-daero, jung-gu, Seoul' 이라고 표기가 되네요. 그리고 만약 아파트나 뒤에 주소입력을 더 해야 하는 경우에는 보다 자세한 표기법을 확인하기 위해 오른쪽 '우편주소 표기방법'을 클릭해 줍니다.
그러면 아파트의 경우에 동과 호수를 어떻게 영문으로 표기하는지, 층수는 어떻게 표기하고 또 지하는 어떤 식으로 표기를 해야 하는지 자세하게 알 수 있습니다. 아파트 동과 호수는 705동 1104호인 경우 705-1104 라고 표기해주면 되고, 층을 표기할 때는 Floor의 앞글자인 'F'를 넣어 3층일 땐 3F 라고 표기하면 되고, 지하층일 경우엔 앞에 B를 붙여주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