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저비용 항공사들의 소형기종은 대부분 보잉 737-800 기종으로 운용이 되고 있지만, 에어부산과 에어서울은 보잉 기종이 한 대도 없습니다. 모두 에어버스 기종으로만 운항을 하고 있고, 그 중 에어부산의 경우, 크게 구분하자면, A320, A321, A321neo 세 종류의 기체로 운용을 하고 있습니다.
A320은 A321보다 동체길이가 짧은 기종이고, A321과 A321neo는 동체길이와 모양은 거의 비슷하지만, 엔진이 완전히 달라진 기체입니다. 연료효율성이 15% 더 좋아지고 엔진소음도 줄어든 차세대 엔진이 달린 기체가 바로 A321neo 기종이예요.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에어부산의 각 기종별 좌석배치도와 앞뒤 좌석 간격은 얼마나 되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에어부산 A320 좌석배치도 및 좌석 간격
- 파란색 : 일반 좌석- 민트색 : 등받이 제한적 고정 좌석- 보라색 : 등받이 고정 좌석 (일부 비상구 좌석)- 핑크색 : 비상구 좌석- 좌석수 : 180석
에어부산 A320 기종은 현재 5대로 운용되고 있으며, 레지넘버에 따라 비상구 및 등받이 고정 좌석배열이 조금씩 다릅니다. 좌석은 모두 31열까지 되어 있으며, 일반좌석의 좌석 앞뒤 간격은 28~29인치, 비상구 좌석은 37~39인치, 맨 앞자리 1열 좌석은 50~53인치, 2~3열 좌석은 28~29인치 입니다.
에어부산 A321 좌석배치도 및 좌석 간격
- 파란색 : 일반 좌석
- 민트색 : 등받이 제한적 고정 좌석
- 보라색 : 등받이 고정 좌석
- 핑크색 : 비상구 좌석
- 좌석수 : 195~220석
A321 기종은 에어부산의 주력 기종이기도 합니다.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기종이기도 한데요. 모두 8대 운용을 하고 있으며, 역시 마찬가지로 레지넘버별로 좌석배치 및 비상구 좌석 배열이 조금씩 다릅니다.
일반 좌석의 경우 기종에 따라 앞뒤 좌석 간격이 조금씩 차이가 있는데, 대부분 28~29인치 정도이고, HL7729, HL7730, HL7763/8257 기종은 그보다 조금 더 넓은 31~33인치 정도입니다. 저가항공 치고는 꽤 넓은 간격이예요. 비상구 좌석 역시 조금씩 차이가 있는데, 넓은 좌석은 최대 57인치 좌석까지도 있고, 대부분은 50~56인치 정도입니다.
에어부산 A321neo 좌석배치도 및 좌석 간격
- 파란색 : 일반 좌석
- 민트색 : 등받이 제한적 고정 좌석
- 보라색 : 등받이 고정 좌석 (일부 비상구 좌석)
- 핑크색 : 비상구 좌석
- 좌석수 : 232석
차세대 항공기인 에어부산 A321neo는 에어부산에서 6대 운용을 하고 있는데요. 만약 대한항공 및 진에어와 합병이 되지 않았다면, 점차 A321 기종 대신 A321neo 기종으로 대부분 전환을 할 계획이었는데, 앞으로 합병이 되고 난 이후엔 어떻게 될지는 미지수입니다. A321neo 기종은 6대 모두 좌석배치가 동일하며, 일반좌석 앞뒤 간격은 28~29인치, 비상구 좌석은 38~55인치입니다.
에어부산 A321neo LR 좌석배치도 및 좌석 간격
- 파란색 : 일반 좌석
- 민트색 : 등받이 제한적 고정 좌석
- 보라색 : 등받이 고정 좌석
- 핑크색 : 비상구 좌석
- 좌석수 : 220석
A321neo LR 기종은 A321neo 파생형 기종으로 기존 A321neo 기종에 연료탱크를 더 추가하여 보다 먼 거리를 운항할 수 있도록 만든 기종입니다. 즉 LR 약자가 Long Range라는 뜻으로 보다 긴 거리를 커버한다는 의미예요. 에어부산 A321neo LR은 동아시아 최초로 도입한 LR 기종이기도 하며, 작년 연말에 취항한 김해~발리 구간에 투입되고 있는 기종이기도 하지요. 일반좌석 앞뒤 간격은 29~30인치이며, 비상구 좌석은 39~54인치 정도입니다.